iH 도시연구소는 급변하는 대내외 여건에서 인천시 핵심사업 시행자이자 정책 파트너로서의 위상 강화, 미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차별화된 R&D 추진, 인천시민의 니즈 및 지역 R&D 거버넌스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 설립되었습니다.
중장기 기업부설연구소 설립을 목표로 그동안 축적된 경험 및 전문성을 기반으로 사업과 연계한 인천 맞춤형 정책 지원,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신성장 동력 발굴, 미래도시 및 건축사업을 위한 기술개발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연번 | 2025년 연구과제 | 분야 |
---|---|---|
1 | iH 육아친화 및 시니어 특화 주거단지 모델 구상 연구 | 미래 신사업 및 경영 지원 |
2 |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를 위한 iH 재생에너지 적용방안 연구(3단계) | |
3 | iH 모듈러주택 적용방안 구상 기초연구 | 핵심 사업 및 신기술 지원 |
4 | iH 노후 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특화방안 연구 | 사업 기반 정책 지원 |
5 | 매입임대주택사업의 매입비용 및 보조금처리 개선방향 연구 | |
6 | 수도권 지방공사 연구협의회 | R&D 거버 넌스 |
7 | 연구 전문기관 협력사업 확대 | |
8 | 인천시정연구네트워크(ICReN) | |
9 | 인천 정책·사업지원 산학협력 |
연번 | 2024년 연구과제 | 분야 |
---|---|---|
1 | iH 탄소중립 전략 및 적용방안 연구(2단계) | 미래 신사업 및 경영 지원 |
2 | iH 근대건축문화자산 활용 및 운영방안 연구(2단계) | 사업 기반 정책 지원 |
3 | 경인전철축 지하화에 따른 상부공간 기본구상 연구 | |
4 | iH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 공공참여 방안 연구 | |
5 | iH 육아친화 특화 주거단지 조성방안 기초 연구 | |
6 | 수도권 지방공사 연구협의회 | R&D 거버 넌스 |
7 | 연구 전문기관 협력사업 확대 | |
8 | 인천시정연구네트워크(ICReN) | |
9 | 인천 정책·사업지원 산학협력 |
연번 | 2023년 연구과제 | 분야 |
---|---|---|
1 | iH 인천 섬 활용방안 기본구상 연구 | 미래 신사업 및 경영 지원 |
2 | iH 남북협력거점 및 협력사업 기본구상 연구(2단계) | |
3 | 인천 중장기 주택수요 분석 연구 | |
4 | 인천 원도심 로컬컨텐츠 발굴 및 활성화 방안 구상 연구 | 사업 기반 정책 지원 |
5 | 인천시정연구네트워크(ICReN) | R&D 거버넌스 |
6 | 인천 주거‧재생 협치포럼(with LH, iH) | |
7 | 인천 미래가꿈 프로젝트(iH, 인천학회, 인천일보) | |
8 | 미래도시포럼(iH, 인천대학교) |
연번 | 2022년 연구과제 | 분야 |
---|---|---|
1 | iH 미래 남북교류협력사업 기본구상 및 사업화방안 연구 | 미래 신사업 및 경영 지원 |
2 | iH 미래도시·주택 추진전략 기본구상 연구 | |
3 | 지속가능한 iH ESG 경영관리 방안 연구 | |
4 | 인천 시정연구네트워크(ICReN) | R&D 거버넌스 |
5 | 2022 몽골 도시개발 전문인력 교육(1차) | |
6 | 인천연구원 협업 연구 (2022 황해평화포럼) | |
7 | 인천 미래도시 정책·사업지원 산학협력 (인천대 미래도시포럼) | |
8 | 인천 도시전문가 네트워크(인천학회 인천미래가꿈 프로젝트, 시즌 1) |
연번 | 2021년 연구과제 | 분야 |
---|---|---|
1 | iH 연구센터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시행방안 연구 | 미래 경영 |
2 | 신·재생에너지 사업화를 위한 기초조사 연구 | 미래 신사업 |
3 | iH 미래주택 전망 및 발전방향 연구 | |
4 | iH 도시재생사업 기본 매뉴얼 연구 | 핵심사업 |
5 | iH 주거복지사업 기본 매뉴얼 연구 | |
6 | 인천 근대건축문화자산 현황 및 사업화방안 연구(iH 사업화 매뉴얼) | |
7 | 인천 시정연구네트워크 (ICReN) | R&D 거버넌스 |
8 | 인천 미래도시 정책·사업지원 산학협력 (인천대 미래도시포럼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