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천 검단신도시 문화재 발굴조사 주민설명회 개최
180726_(기술지원처)_인천_검단신도시_문화재_발굴조사_주민설명회_개최_(1).jpg (6MByte) 사진 다운받기
180726_(기술지원처)_인천_검단신도시_문화재_발굴조사_주민설명회_개최_(2).jpg (4MByte) 사진 다운받기
인천 검단신도시 문화재 발굴조사 주민설명회 개최 - 청동기 대규모 주거지군·고려 청자 다기 등 사료적 가치 높은 유적·유물 발굴 - |
○ 인천도시공사(사장 황효진)와 (재)호남문화재연구원(원장 윤덕향)은 지난 2015년 12월부터 시행된 인천 검단신도시 문화재 발굴조사의 주요 성과를 인천시민과 공유하고자 26일 검단 홍보관(서구 원당대로 929 소재)에서 ‘사업설명 및 문화재 발굴조사 주민설명회’를 개최했다.
○ 공사는 검단신도시 개발사업의 사업시행자로서 유적 보호 의무를 다하고자 검단신도시 2, 3단계(불로동, 마전동 일원) 사업부지에서 확인된 주요 유적과 유물을 주민에게 공개하기로 결정했다.
○ 이날 설명회는 김진규 시의회 부의장과 김종인 건설교통위원장, 인천시민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검단신도시 미래특화계획을 설명하고 출토유물을 관람하는 순서로 진행됐다.
○ 이번 발굴조사 결과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주거지와 건물지, 무덤 등 다양한 유구와 석기류, 다기류, 청동거울과 장신구 등 다양한 유물이 확인되며 이 지역 일대의 역사를 고고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게 됐다.
○ 특히 460여기에 달하는 청동기시대 대규모 주거지군은 청동기시대 전기 중서부지역 생활상을 유추할 수 있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유적이며, 고려시대 29호 석관묘에서 출토된 청자 다기는 제작기술이 뛰어나고 청자의 제작과 수급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.
○ 공사 황효진 사장은 “검단신도시 택지개발지구 내 다양한 유적과 유물들이 발굴됨에 따라 검단 지역이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풍요로운 삶의 터전임이 입증됐다”며 “검단의 역사문화적 정체성과 문화자산을 신도시 조성에 적극 활용할 것”이라고 밝혔다.